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2

김단테의 올웨더 공부해보기2-(세금 , 환리스크 극복하기) 토니로빈스의 "money"를 읽었을 때 느낀 것은 "빨리 실제적 적용을 해보고싶다..."와 "근데 한국인 관점에서도 전략의 장점들을 이용할 수있는건가?"라는 두가지 생각이 들었다. 환리스크 극복하기란 말보다 미국인의 올웨더 투자방식과 한국인의 올웨더 투자방식의 차이를 느껴야한다. 일단 세금적인 문제이다. 미국인의 시장참여시 발생하는 세금리스크를 보자. 미국주식을 매각시에 발생할 수 있는 과세의 4가지 기본 규정을 보자. 첫번째로는 보유주식(etf)를 얼마 동안 보유했는지이다. 1년 이상 보유했을 경우 장기자본이익으로 본다. 장기자본손실도 본다. 단기적 개념도 있지만 우리는 정적포트폴리오와 1년리밸런싱이므로 단기에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없다. 두번째로는 장기자본이익이 자본이득세율로 적용받는다는 것이다. 세.. 2021. 1. 6.
김단테의 올웨더 공부해보기-(다른 Risk Parity 전략과의 차이점) 1. AQR Risk Parity aqr의 특징은 Commodities에 있다. 원자재에 투자되는 비율이 32%.... 주식에서 선진국 비율이 높으나 미국비율로 따진다면 미국비율은 15.5% VT에 비해 미국비율이 작다는 점이 김단테올웨더와의 차이가 될 것이다. 인플레이션에 큰 배팅을 하는듯한 전략이다. 우하향하는 특징을 가진 commodity를 저렇게 많이... 거부감이 심하다. 또다른 분산투자 전략에도 원자재비중이 21.5%이다. 이 전략에는 주식이 좀 많은 편인데... 아무리 그래도 원자재비중이 꽤 큰 편이라 거부감이 너무 심하다. 5년 연평균 수익률이 6.65%이다 반면 60/40전략은 10.22%이다. 최근 1년은 사실 더 암울하다. 2. Wealthfront 이 펀드는 좀 흥미로운 부분이 있었.. 2021. 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