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투자4 김단테의 올웨더 공부해보기-(올웨더를 업그레이드 한다면? ) 이번편은 사실 결론은 순정은 옳다라는 말을 하고싶다. 설레는 편이다.(튜닝이란 그런거지...) 김단테님이 이 질문사항을 왜 넣었는지는 사실 잘 모르겠다. 아마 튜닝의 끝은 순정이다를 느껴보자는 편에서 이 질문을 줬나? 라는 생각이든다. 사실 올웨더 포트폴리오의 순정은 무엇인가? 부터 질문해야한다. 실제로 김단테V1,2,3들의 비중이나 자산특징... 올시즌스... 많은 올웨더의 순정(?)이 있다. 즉 김단테버젼들도 전부 사실은 튜닝이라고 보아야한다. 결국 자동차를 이용하기위해 자동차사고라는 사실 별 생각을 하지않는 리스크를 져야한다. 즉 우리는 업그레이드를 하기위해 리스크를 져야한다. 이 리스크는 변화시도에 대한 대가이다. 우리는 변화시도를 어떻게 해야할까? 1. 자산군 분산 집중화 및 분산화 VT는 실제.. 2021. 2. 4. 김단테님의 올웨더 공부해보기3-(왜 이머징국채는 로컬화폐etf를 쓰는가?) , VWOB , EMLC 앞서 우리는 이머징국채의 역할을 알 수 있었다. 이머징국채는 간단하다. 이머징국가의 경우 금리결정을 쉽사리 하지못한다. 그리고 경기가 좋고 인플레이션이 좋을 때 시장투자자들은 선진국보다는 발전속도가 좋은 이머징을 선택한다. 리스크는 좀 있는 국가의 그룹이지만 투자가 활발할때는 이머징에 돈이 몰린다는 것이다. 해당 이머징국가로 돈이 몰리면 돈의가치가 높아진다. 이머징채권이 인기가 많아진다 쳐보자. 이머징채권을 사기위해 달러를 환전하고 원화로 들어오는 손님들 덕에 원화가치는 상승한다. 즉 이 말은 이머징채권(원화표시)의 가치가 상승한다는 것이다. 이머징채권을 가지고 있는 시장참여자는 원화강세덕에 자산가치가 불어난다. 제목에 쓰여진 로컬화폐란 로컬=이머징국가 즉 해당 ETF가 로컬화폐의 강세를 반영해준다는 것.. 2021. 1. 8. 김단테의 올웨더 공부해보기2-(세금 , 환리스크 극복하기) 토니로빈스의 "money"를 읽었을 때 느낀 것은 "빨리 실제적 적용을 해보고싶다..."와 "근데 한국인 관점에서도 전략의 장점들을 이용할 수있는건가?"라는 두가지 생각이 들었다. 환리스크 극복하기란 말보다 미국인의 올웨더 투자방식과 한국인의 올웨더 투자방식의 차이를 느껴야한다. 일단 세금적인 문제이다. 미국인의 시장참여시 발생하는 세금리스크를 보자. 미국주식을 매각시에 발생할 수 있는 과세의 4가지 기본 규정을 보자. 첫번째로는 보유주식(etf)를 얼마 동안 보유했는지이다. 1년 이상 보유했을 경우 장기자본이익으로 본다. 장기자본손실도 본다. 단기적 개념도 있지만 우리는 정적포트폴리오와 1년리밸런싱이므로 단기에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없다. 두번째로는 장기자본이익이 자본이득세율로 적용받는다는 것이다. 세.. 2021. 1. 6. 김단테님의 버젼별 올웨더 포트폴리오 (레이달리오 포트폴리오) 올웨더 포트폴리오는 레이달리오가 창시한 포트폴리오이다. 이 포트폴리오는 모든 경제상황.. 즉 인플레이션 , 디플레이션 , 경기하방 , 경기상방에서 잘나가는 자산들을 모두 담아 리스크패리티전략으로 구현하였다. 1. 처음 올웨더 포트폴리오가 세상에 소개 됬을 때의 포트폴리오 미국주식30% - SPY 미국장기채40% - TLT 미국중기채15% - IEF 금7.5% -GLD 원자재7.5% -BCI 2. 김단테님의 올웨더 포트폴리오 V1 미국주식40% - SPY 미국장기채25% - EDV 물가연동장기채10% - LTPZ 장기회사채7.5% - VCLT 신흥국채권7.5% - EMLC 원자재5% - DBC 금5% - IAU 3. 김단테님의 올웨더 포트폴리오 V2 미국주식35% - SPY 미국장기채20% - EDV 물가.. 2020. 12. 3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