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9

김단테님의 올웨더 공부해보기3-(왜 이머징국채는 로컬화폐etf를 쓰는가?) , VWOB , EMLC 앞서 우리는 이머징국채의 역할을 알 수 있었다. 이머징국채는 간단하다. 이머징국가의 경우 금리결정을 쉽사리 하지못한다. 그리고 경기가 좋고 인플레이션이 좋을 때 시장투자자들은 선진국보다는 발전속도가 좋은 이머징을 선택한다. 리스크는 좀 있는 국가의 그룹이지만 투자가 활발할때는 이머징에 돈이 몰린다는 것이다. 해당 이머징국가로 돈이 몰리면 돈의가치가 높아진다. 이머징채권이 인기가 많아진다 쳐보자. 이머징채권을 사기위해 달러를 환전하고 원화로 들어오는 손님들 덕에 원화가치는 상승한다. 즉 이 말은 이머징채권(원화표시)의 가치가 상승한다는 것이다. 이머징채권을 가지고 있는 시장참여자는 원화강세덕에 자산가치가 불어난다. 제목에 쓰여진 로컬화폐란 로컬=이머징국가 즉 해당 ETF가 로컬화폐의 강세를 반영해준다는 것.. 2021. 1. 8.
월가아재의 투자시 저지르는 실수 16가지 공부해보기(대표성 부재) 인지오류 2: 대표성 부재 Representativeness heuristic bias occurs when the similarity of objects or events confuses people's thinking regarding the probability of an outcome. People frequently make the mistake of believing that two similar things or events are more closely correlated than they actually are. 대표성 휴리스틱 편향. 어떤 상황의 유사성이 사람의 판단의 실패를 가져온다는건데 사람들은 자주 비슷한 사건이 일어났을 때 실제보다 더욱 관련있게 생각한다는 것이다. 즉 내가 경험.. 2021. 1. 7.
김단테의 올웨더 공부해보기3-(왜 국채비중이 회사채,이머징채권보다 높은 비율인지) 김단테버전 올웨더에 특징은 이머징채권과 회사채를 가져간다는 점이다. 기존 토니로빈스 MONEY에서 밝혀진 올웨더는 국채를 중기와 장기로 나눠 가져간다. 하지만 실제 레이달리오의 올웨더펀드에는 물가연동채의 비중이 존재하고 회사채와 이머징채권도 존재한다. 오 채권도 좀 더 분산하는건가? 한다면 당신은 반 만 정답이라고 해두겠다. 다음 도표는 4가지 경제상황에 대한 각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우세한 자산들을 나타낸 것이다. 해당 자산들을 올웨더로 들고 가는 것이다. 회사채와 국채의 차트흐름을 먼저 주목해보자. 일단 장기회사채와 단기회사채의 흐름은 방향성이 거의 완벽히 동일하다. (위 도표의 경제하락시에 장기회사채 표시를 지움) 3월 코로나때를 주목해보자 회사채는 크게 골이 파이지만 국채는 그대로 쭈욱 올라간다. .. 2021. 1. 6.
김단테의 올웨더 공부해보기2-(세금 , 환리스크 극복하기) 토니로빈스의 "money"를 읽었을 때 느낀 것은 "빨리 실제적 적용을 해보고싶다..."와 "근데 한국인 관점에서도 전략의 장점들을 이용할 수있는건가?"라는 두가지 생각이 들었다. 환리스크 극복하기란 말보다 미국인의 올웨더 투자방식과 한국인의 올웨더 투자방식의 차이를 느껴야한다. 일단 세금적인 문제이다. 미국인의 시장참여시 발생하는 세금리스크를 보자. 미국주식을 매각시에 발생할 수 있는 과세의 4가지 기본 규정을 보자. 첫번째로는 보유주식(etf)를 얼마 동안 보유했는지이다. 1년 이상 보유했을 경우 장기자본이익으로 본다. 장기자본손실도 본다. 단기적 개념도 있지만 우리는 정적포트폴리오와 1년리밸런싱이므로 단기에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없다. 두번째로는 장기자본이익이 자본이득세율로 적용받는다는 것이다. 세.. 2021. 1. 6.